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덕릉계(德陵溪)의 옛 풍광을 찾아서 - 덕릉천의 작은 폭포와 기암괴석

덕흥대원군 가문 이야기

by 학당 2025. 4. 10. 13:50

본문

728x90
반응형

릉계(德陵溪)의 옛 풍광을 찾아서 - 덕릉천의 작은 폭포와 기암괴석

따듯한 봄날에 수락산과 불암산 사이에서 덕릉고개에서 흘려 내려오는 계곡물이 모여 덕릉천으로 흐른다. 이 덕릉천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덕릉 마을 초입에 흐르는 덕릉계의 옛 풍광을 찾아 덕릉천의 작은 폭포와 기암괴석을 둘러보며, 덕릉계의 옛 풍광과 도정궁 묘역이 사방에 이루어졌던 이곳 아직 일부 구간만 옛 정취가 남은 듯하다. 시 당국에서 조금만 정비하면 좋은 쉼터가 되지 않을까 한다. 덕릉천 주변에는 군부대시설과 덕흥대원군 묘역 배산임류가 되는 곳이다.

서울 노원구 상계동 수락산 남서쪽 기슭 풍광이 좋은 벽운계곡에 영의정 홍봉한(洪鳳漢, 1713년-1778년)이 우우당(友于堂)이라는 벽운 별서를 짓고, 당대 석학들과 정치를 논의하고 휴양하였던 곳이다. 우우당 현판은 추사 김정희 글씨이다. 벽운계곡에는 벽운동천(碧雲洞天), 국봉(菊峰), 소국(小菊), 운천대(雲湶臺)라는 각석이 되어 옛 명소와 현재 여름 휴양지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며, 상계동 동막골 유원지는 도정궁 이세상(李世祥) 장군과 도정궁 후손들의 묘역이 있고, 여기도 여름 휴양지로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의정부시 장암동 수락산 서쪽 기슭에는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1629년-1703년)의 고택과 묘역과 석림사, 노강서원 등이 있어 명승지로 석촌동 계곡(서계)에도 석천동(石泉洞), 서계유거(西溪幽居), 남구만 초서 수락동천(水落洞天), 취승대(聚勝臺) 라는 각석이 있어 옛 풍광의 돌이켜 볼 수 있고, 남양주시 수락산 동편 옥류동 계곡(청학동 계곡, 사기막)은 현재 서계 석천동 계곡과 수락산 최고 명승지이다. 옥류동에서 도정궁 충정공 이홍술(李弘述) 대장 종가 터와 충정공 이홍술가 묘역 터, 장암(場巖, 마당바위), 옥류폭포, 금류폭포, 은류폭포, 내원암이 있으며, 각석으로 우암 송시열 친필 옥류동(玉流洞), 금류동천(金流洞天) 각석이 있다.

남양주시 또 하나의 명승지 덕릉마을 있는 수락산 남쪽 기슭 덕릉계는 덕흥대원군 묘와 도정궁 사손 묘역, 수락산방(덕릉재실), 흥국사, 덕릉 마을 산신각, 덕릉천, 덕릉계곡이 있다. 덕릉천에서 옛 풍광을 도정궁가 자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지만 각자가 있을 법한 곳이 있지만 아쉽게 각자는 찾을 수 없다. 덕릉천(약 100미터 구간)과 덕릉계곡은 마을 초입부터 흥국사까지 올라가는 길에 있지만 물이 없어 덕릉계의 아쉬움이 남지만 나름 숲 산책로는 손색이 없어 보인다. 시당국에서 조금만 신경을 쓰면 더 좋은 휴양 공간이 되지 않을까?

저번에는 비밀의 공간 덕릉계곡을 소개하였다면 이번에는 덕릉천 상류 쪽을 소개한다. 나만의 덕릉 마을 답사 코스와 덕흥대원군 묘역 답사할 때 다니던 곳이었지만 답사 객들에게 또 하나의 묘미를 더 해줄 것이다. 흥국사 산책, 수락산 정상 등산할 때 한 번쯤 살펴보면 좋지 않을까 해서 옛 덕릉계 풍광을 어느 정도 느낄 수 있는 덕릉천 상류하고 덕릉계곡이 어느 정도 볼만하여 혼자만 보기 아까워 소개하여 본다.

벽운동천에는 우우당(익익재 홍봉한 별서) , 석천동천에는 정매당(서계 박세당 종택), 덕릉계는 수락산방(도정궁가 제청), 옥류동천에는 담존재 별서(충정공 이홍술 대장 종택)가 있었다.

덕흥사적연구회장 이학주 씀.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