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회(李明會, 1685년 - 172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귀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명회(明會), 자는 제숙(際叔)이다. 형 이명좌(李明佐)가 임인사화(壬寅士禍)에 연좌되어 영조의 특명으로 대통(大統)을 이어 덕흥대원군의 7대 사손(嗣孫)이 되었다.
아버지는 증 참판(參判) 이세정(李世禎)이며, 어머니는 부제학(副提學) 청송인(淸松人) 심유(沈攸)의 딸로 증 정부인 청송심씨(貞夫人 淸松沈氏)이다.
부인은 첨추(僉樞) 평산인(平山人) 신백수(申栢壽)의 딸로 정부인 평산신씨(貞夫人 平山申氏)이다.
증 참판 이세정의 차남으로 을축(乙丑) 1685년(숙종 11) 1월 15일 탄생하여 숙부(叔父) 행 선릉 참봉(行宣陵參奉) 증 참판(參判) 이세기(李世祺)에게 출계하였다. 세기는 본가(本家) 숙부(叔父) 통덕랑(通德郞) 증 승지(承旨) 이홍달(李弘達)에게 출계하여 증 승지 홍달의 양손자가 되었다. 을미(乙未) 1715년(숙종 41)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2등(二等) 11위(16/100)에 급제하고 1718년(숙종 44) 윤8월 22일 정릉 참봉(貞陵參奉)에 제수되고, 이해 윤8월 29일 사은(謝恩)받았다. 이해 9월 5일 정릉 참봉(貞陵參奉) 재직 중 아버지 과옥(科獄)에 연좌되어 사헌부에서 태거(汰去)하라 하였다.
1721년(경종 1) 1월 10일 순릉 참봉(順陵參奉)에 제수되고, 이해 1월 25일 사은(謝恩)받았다.
1722년(경종 2) 종조(從祖) 충정공 이홍술(李弘述)과 형 이명좌(李明佐)가 임인사화(壬寅士禍)에 연류되었다고 하여 연좌(緣坐)되어 부안현(扶安縣) 위도(蝟島)에 정배(定配) 되었다.
1725년(영조 1) 3월 2일에 영조대왕의 특명으로 연좌되었던 친족(親族)들을 모두 신원해주고,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제사(祭祀)를 승습(承襲)하여 받들도록 명하여 이해 3월 7일 대원군(大院君)의 적장손(嫡長孫) 세습(世襲) 제도로 돈녕 도정(敦寧都正)에 제수되었다. 이해 4월 9일 상소하여 친형 이명좌(李明佐)가 김성절(金盛節)의 구무(構誣, 터무니없는 일을 꾸미어 남을 모함(謀陷)함.)를 받은 일에 대한 소회(所懷)를 진달하고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봉사(奉祀)를 친형 이명좌(李明佐)의 후사(後嗣)를 세워 제사를 주관하게 할 것을 청하였으나 대신들과 논의 끝에 그냥 봉사(奉祀)하도록 하고, 이해 4월 29일 공(公)에게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묘소에 전배(奠拜)할 때 요전상(澆奠床)을 갖추어주라고 전교하였다.
이해 11월에는 평양문안사(平壤問安使)로 나아갔으며, 1726년(영조 2) 2월 25일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분산(墳山)의 사대석(沙臺石) 및 사초(莎草)가 말라 죽은 곳 수개(修改)를 감동(監董)하기 위해 은가(恩暇)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정미(丁未) 1727년(영조 3) 12월 13일 향년 43세로 별세하였다. 후에 아들 이형종(李亨宗)이 2품의 오르는 은전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판(吏曹參判) 겸 동의금부사(兼同義禁府事) 오위도총부 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管)으로 증직되었다가 다시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증직되었다.
[비밀의 계곡] 수락산 덕릉 계곡(도정궁家 수락산방 후원) 폭포들 이름을 짓다. (0) | 2025.05.20 |
---|---|
도정궁 사손 완성군 이희 묘 (0) | 2025.05.08 |
도정궁 사손 완창군 이시인 묘 (0) | 2025.05.08 |
도정궁 사손 증 좌찬성 이형종 묘 (0) | 2025.05.08 |
도정궁 사손 완창군 이시인 묘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