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양군(臨陽君) 이환(李桓, 1656년(효종 7)-1715년(숙종 41))은 조선 후기의 종실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숙(武叔)이다. 제14대 선조대왕의 제8왕자 의창군(義昌君) 경헌공(敬憲公) 이광(李珖)의 증손이다. 아버지는 제16대 인조대왕의 제2왕자 낙선군(樂善君) 이숙(李潚)이다. 생 증조부는 제14대 선조대왕의 제9왕자 경창군(慶昌君) 이주(李珘)이며, 생조부는 왕손 창원군(昌原君) 이준(李儁)이다. 생부는 종실 청평군(淸平君) 이전(李洤)이다.
부인은 목사(牧使) 증 참판 동래인(東萊人) 정재후(鄭載厚)의 딸로 군부인 동래정씨이다.
종실 청평군의 2남으로 1656년(효종 7) 3월 3일 탄생하여 7세 때였던 1662년 인조의 아들인 낙선군 이숙(樂善君 李潚)에게 입양되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기도(器度)가 넓었으며, 특히 학문을 좋아하였다. 1666년 처음 서원수(西原守)로 봉작받고, 후에 서원군(西原君)에 진봉되었다가 장성하여 임양군(臨陽君)에 봉하여졌다.
1693년(숙종 19) 4월 23일 사은 정사(謝恩正使)로 청 나라에 다녀오고, 1694년(숙종 20) 윤 5월 23일 부총관(副摠管)에 제수되었다가 이해 12월 도총관(都摠管)에 제수되었다.
1698년(숙종 24) 3월 25일 동지사(冬至使) 겸 사은사(兼謝恩使)로 청 나라에 다녀오고, 1699년(숙종 25) 7월 18일 또 절사(節使)에 차임되었으나 사간원에서 한 사람에게 해마다 사신(使臣)으로 나가게 하는 것은 일이 고르지 못하고 매우 구차스럽다고 상소하여 개차(改差) 되었다.
1701년(숙종 27) 11월 8일 인빈방(仁嬪房) 및 의창군(義昌君)의 제사를 받들도록 명하고, 이해 11월 10일 의창군(義昌君)의 봉사(奉祀)를 낙선군(樂善君)의 집(송현궁)으로 돌리라고 판하(判下)하고, 임양군(臨陽君) 이름으로 입안(立案)을 성급(成給)하라 하였다.
1703년(숙종 29) 4월 11일 주청사(奏請使)로 청 나라를 다녀오고, 이해 6월 6일 서용(敍用)되어 자궁(資窮)으로써 숙마(熟馬)와 장획(臧獲)과 전토(田土)를 받았다. 숙종의 후사문제로 정론을 세운 공으로 가덕대부(嘉德大夫)에 초자되었다.
1709년(숙종 35) 7월 28일 진하정사(陳賀正使)로 청 나라를 다녀오고 1713년(숙종 39) 4월 5일 사은 정사謝恩正使)로 청 나라를 다녀왔다. 정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온 뒤 곧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승품되었다. 도총관이 되면서 사옹원과 종부시의 제조도 겸하였다. 인품이 착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평생토록 타인의 허물을 입에 담지 않았다.
1714년(숙종 40) 9월 26일 종부제조(宗簿提調)로 선원록(璿源錄) 봉안(奉安) 하였다.
1715년(숙종 41) 3월 26일(선원속보는 영조 기유년 4월 5일) 향년 60세로 별세하여 묘소는 양주 청송 유좌(酉坐)로 모셨다. 영조 을해년 여선군(驪善君) 이학(李壆)의 죄사(을해옥사, 나주괘서사건)에 연좌되어 파양되어 본종으로 돌아왔다. 옥사
고종 갑자년 5월 신원되고, 후 4년 정묘년 8월에 양자 및 작위를 돌려주었다. 양아버지 낙선군 이숙이 선조대왕의 8왕자 의창군 이광의 계후로 정해져 낙선군파는 원래 의창군파 라고 해야 한다.
덕흥사적연구회장 이학주 작성.
제13대 명종대왕 후궁 순빈 동래정씨(順嬪 東萊鄭氏) 묘 (0) | 2023.03.14 |
---|---|
(해안군파) 종실 안성군 이인충 설묘(宗室 安城君 李仁忠 設墓) (0) | 2023.03.14 |
(해안군파) 종실 영창군 이익철 묘(宗室 靈昌君 李翼哲 墓) - 왕자 해안군 봉사손 (1) | 2023.03.14 |
종실 상원군 이공(商原君 李糿, 1715년-1733년) (0) | 2023.03.14 |
제13대 명종대왕 후궁 순빈 동래정씨(順嬪 東萊鄭氏) (0) | 2023.03.14 |